반응형
B형간염이란?
B형간염은 B형 간염 바이러스(HBV)에 감염된 경우 이로인한 우리몸의 면역반응으로 인해 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B형간염에 대한 이전 포스팅 보기
만성 B형 간염으로 진단된 성인에서 간경변증, 간암으로 진행되는 비율
만성 간염 기간 | 간경변증 발생율 | 간암 발생율 |
5년 경과 후 | 9% | 2.7% |
10년 경과 후 | 23% | 11% |
15년 경과 후 | 36% | 25% |
20년 경과 후 | 48% | 35% |
만성 B형 간염으로 진행된 사람에게 간 손상을 줄이고 간경변증과 간암을 예방하기 위해 항바이러스제를 사용 할 수 있으며, 치료 전 치료의 적응증 및 유전형 확인, 적절한 약제의 선택, 부작용, 내성발생 등 주치의와 충분한 상담을 거쳐야 합니다.
만성 B형간염 5단계
B형간염 국가검진
40세 이상 B형간염 보균자에는 국가간암검진을 6개월마다 할 수 있습니다.(소득에 따라 상이)
간초음파 + AFP(간암수치) 검사로, 현재 간암의 유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검사는 현재 간암의 유무만 알 수 있으므로, 추가 혈액검사를 통해 HBV 항원, 항체검사와 DNA 검사가 필요합니다.
재활성화 되기전, HBV DNA 수치가 높아지고, 이후 바이러스 양이 많아지면 , 그 후 간수치(AST, ALT) 가 높아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 간암검진과 추가 혈액검사로 바이러스의 활동을 예견 할 수 있습니다.
B형간염은 간암 원인의 70~75%를 차지합니다.
때문에 적절한 검진으로 바이러스의 활동을 감시하며, 바이러스 활동시 항바이러스제 복용으로 간암을 예방해야 합니다.
국가 간암검진 조회
반응형